의사만 아는 숫자들? 이제는 나도 안다! 기본 수치 해석법 공개
혈액검사의 기본 개념
혈액검사는 피 한 방울로 우리 몸의 상태를 알아보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검사입니다.
단순히 건강검진에서 하는 기본 혈액검사만으로도 몸속 장기들의 작동 상태, 면역력, 빈혈 여부, 염증 반응까지 파악할 수 있어요.
"건강의 거울"이라 불릴 만큼, 수치 하나하나가 뜻하는 바를 알면
내 건강을 스스로 지키는 첫걸음이 됩니다.
주요 수치의 의미
혈액검사에는 다양한 수치가 있지만, 그 중 **기본 혈액 검사(CBC)**와 화학 검사(Biochemical panel) 항목들이 핵심입니다.
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수치들을 꼭 알아야 합니다.
- WBC (백혈구 수): 면역 상태
- RBC (적혈구 수), Hgb (혈색소): 빈혈 여부
- AST/ALT: 간 기능
- Cr, BUN: 신장 기능
- Glucose: 혈당 수치
- Cholesterol, TG: 지방 대사 상태
이 수치들만 제대로 해석해도, 건강 관리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어요. 😊
백혈구 수치 해석
백혈구(WBC)는 외부 침입자와 싸우는 면역 세포입니다.
정상 수치는 4,000~10,000/μL이며,
수치가 너무 낮으면 면역 저하, 너무 높으면 감염이나 염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.
"평소보다 수치가 급상승했다면, 감기나 세균성 질환을 체크해보는 것이 좋아요."
또한 WBC 내 세부 항목인 중성구(NE), 림프구(LY) 비율도 함께 보면 원인을 더 정확히 알 수 있어요.
적혈구와 혈색소
적혈구(RBC)와 혈색소(Hgb)는 산소를 운반하는 중요한 혈액 성분입니다.
혈색소 수치가 낮으면 빈혈로 인한 피로감, 어지러움 등을 유발할 수 있어요.
정상 수치는 남성 기준 13~17g/dL, 여성은 12~15g/dL 정도입니다.
"가볍게 넘기기 쉬운 피로가 빈혈 때문일 수 있어요. 혈색소 수치를 꼭 확인해보세요."
수치가 높게 나오는 경우는 흡연자나 고산지대 거주자에게 흔히 나타날 수 있습니다.
간 기능 검사 수치
간은 해독, 저장, 소화 등 다양한 역할을 하는 장기입니다.
간 건강을 확인하는 대표 수치는 AST(GOT), ALT(GPT) 입니다.
정상 기준은 각각 40 U/L 이하이며,
ALT가 특히 높을 경우 간세포 손상을 의미합니다.
"간은 침묵의 장기라 불릴 만큼 이상 증상이 늦게 나타나므로
정기적인 혈액검사로 수치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"
신장 기능 관련 수치
신장의 기능을 보려면 **크레아티닌(Cr)**과 BUN 수치를 봐야 합니다.
Cr 정상 수치는 0.6~1.3 mg/dL,
BUN은 7~20 mg/dL입니다.
"이 수치가 높다면 신장 기능 저하나 탈수, 고단백 식이 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."
특히 고혈압이나 당뇨 환자라면 이 수치를 자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혈당 수치와 당뇨 위험
혈당(Glucose)은 공복 기준 70~99 mg/dL이 정상입니다.
100~125면 공복혈당장애, 126 이상이면 당뇨를 의심할 수 있어요.
"단순 피검사로도 당뇨 위험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.
특히 아침 혈당이 높게 나온다면 생활습관 개선이 시급합니다."
당뇨는 초기 자각 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혈당 수치로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해요. 🍯
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
지질 수치는 심혈관 건강과 직결됩니다.
- 총 콜레스테롤: 200 mg/dL 이하
- LDL (나쁜 콜레스테롤): 130 mg/dL 이하
- HDL (좋은 콜레스테롤): 40 mg/dL 이상
- 중성지방(TG): 150 mg/dL 이하
"지질 수치는 식습관과 운동만으로도 크게 달라질 수 있어요.
특히 지방이 많은 식단은 중성지방을 급격히 높일 수 있습니다."
수치가 높다면 식단 조절과 유산소 운동을 병행해야 합니다.
수치가 이상할 때 대처법
혈액검사 결과 수치가 비정상이라면, 당황하지 말고 재검과 원인 분석이 우선입니다.
- 일시적일 수 있음 (예: 감기, 스트레스)
- 생활습관의 영향일 수 있음
- 반드시 의사와 상담 필요
"중요한 건 수치 변화의 패턴과 본인의 증상을 함께 보는 것!"
무조건 공포심을 갖기보다, 변화를 기록하고 건강 습관을 점검하는 계기로 삼으세요. 💡
'건강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직구 다이어트 약, 안전하게 구매하는 방법 (3) | 2025.04.27 |
---|---|
CT촬영 전 반드시 숙지해야 할 안전 수칙 가이드 (2) | 2025.04.27 |
처방전 없이 구매 가능한 다이어트약, 안전할까? (1) | 2025.04.26 |
신장 질환자가 피해야 할 과일 리스트 (0) | 2025.04.26 |
영양사가 추천하는 혈당 관리에 탁월한 음식 리스트 (1) | 2025.04.25 |